728x90
반응형

스토리텔링 50

웹 디자인에 더 필요한 3가지 비디오 게임 스토리텔링 기법

얼핏 보면 웹 디자인과 비디오 게임 디자인은 두 개의 전혀 다른 세계처럼 보인다. 하나는 "진지한 사업"으로 간주되고 다른 하나는 "재미를 위한 게임"이다. 그러나 웹 디자이너와 개발자들은 게임 제작자들로부터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하기 위해 스토리텔링 기법의 귀중한 교훈을 배울 필요가 있다. 1. 사용자가 영웅이다 비디오 게임은 플레이어를 운전석에 앉혀 그들의 행동에 대한 통제권을 주고 그들이 그들 앞에서 펼쳐지는 이야기의 영웅이 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어들은 분명한 임무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선택은 그들이 설정한 목표에 달성하는 과정을 결정짓는다. 같은 방법으로, 웹사이트는 방문자들의 사이트를 통한 여정을 통제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가 자신의 사용자 프로필과 아바타를 만들 수 있도록 하..

스토리텔링 2021.04.27

시나리오·웹소설 쓰는법: 장면이란 무엇인가?

어렵게 생각하지 말자고요. 장면이란 흘러가는 시간이나 연속적인 공간에서 어떤 특정한 부분을 말해요. 우리가 '장면'이라고 하면 딱 한 컷의 스틸 사진 같은 걸 생각하기 쉽지만 반드시 그런 정지 화면 같은 것일 필요는 없고요. 그냥 A~B 사이의 구간이어도 괜찮아요. 단, 무엇을 기준으로 해당 구간을 나눌 것인지가 중요하죠. 또 그 구간에 무엇을 채워 넣을 것인지도 중요해요. 그럼 그 이야기를 해봅시다.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의미가 있다.'라는 말을 어디선가 들어본 것 같은데요, 스토리텔링에서는 진리입니다. 의미도, 기능도 없다면 그런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말로 전하는 이야기나 글로 전하는 이야기나, 동영상으로 전하는 이야기나 다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말보다는 글로 쓸 때, 글..

스토리텔링 2021.04.11

스토리텔링 기법: 소설 및 시나리오 플롯의 구성요소

구성(構成, plot)-소설 및 시나리오에서의 : 주제의 효과적 표현을 위한 사건의 인과적 질서 1. 개념 : 구성이란 어떤 사물의 짜임새, 틀을 말한다. 따라서 소설의 구성은 작품의 짜임새를 말하며 흔히 '플롯'이라고도 한다. 소설에는 일정한 이야기(스토리)가 있고, 그 이야기는 인과적 질서에 의한 일정한 틀에 의해 전개된다. * 현실의 줄거리(story)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순차적 배열 * 허구적 줄거리(plot) : 작가가 재구성한 사건의 인과적(因果的), 미적 질서 '소설의 양상'(Aspects of the Novel) --- 포스트(E. M. Forster)의 견해 스토리는 시간적 순서대로 배열된 사건의 서술이다. 플롯도 사건의 서술이지만 인과(因果) 관계에 중점을 둔다. '왕이 죽고..

스토리텔링 2021.03.28

스토리텔링의 이해 #02. 이야기 그리기, 서사

우리 속담에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란 말이 있다. 서 말까진 아니지만 하나의 이야기도 여러 개의 작은 사건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을 잘 엮어야 보배로운 이야기가 된다. 만약 두서없이 잘못 나열하면 이야기도 뒤죽박죽이 되어버린다. 이 사건이라는 이름의 구슬들을 하나로 꿰는 것이 바로 서사다. 한국 현대문학 대사전에 따르면 서사(敍事)는 본래 '어떤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록하는 글의 양식'을 뜻하지만 문학에서의 서사는 '상상력에 의해 만들어지는 허구적(虛構的) 서사'를 포함한다. 또, 문학비평 용어 사전에서는 '어떤 사건이나 사건들의 연쇄를 이야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로 정의 내려지고 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서사란 현실이나 상상 속의 사건을 이야기하려고 쓴 글이라는 결론에 도..

스토리텔링 2021.01.28

디지털 스토리텔링 어디까지 왔나?

1주일 만에 영화 대본과 스토리보드를 완성할 수 있을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 같은 작업을 1주일 만에 완성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지만 이젠 가능하다. 등장인물과 이야기 구조, 줄거리, 형식만 설정해 주면 전용 소프트웨어가 대본과 스토리보드를 대략 완성해주기 때문이다.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이 계속 진화하고, 소프트웨어가 스스로 창작하는 시대가 되고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콘텐츠 창작의 효율성과 창작물의 공유, 활용성을 높이는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때 디지털 스토리텔링은 디지털 기술을 환경이나 수단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을 말한다. 디지털 기술을 환경으로 수용..

스토리텔링 2021.01.03

출판을 꿈꾸는 사람들을 위한 '책 쉽게 쓰는 방법'

내 책을 출판하고 싶다. 그렇다면 얼마만큼의 분량을 써야만 하는 것일까? 출판사가 요구하는 단행본 책 한 권의 분량은 대충 200자 원고지 1,000매 정도. 이 정도 분량이면 편집했을 때 300 페이지 남짓한 책 한 권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500 페이지나 심지어 1,000 페이지가 넘는 책도 있다. 그러나 이건 특수한 경우고 대체로는 300 페이지 정도의 분량을 단행본 한 권으로 잡는다. 물론 출판시장의 오랜 관행일 수도 있지만 결국 책이란 종이에 글 묻혀 이윤 남기고 파는 것. 계산해보면 300 페이지 분량이 나와야 손익 분깃점을 넘었던 것이다. 단, 지금은 인쇄 비용과 출판 시장이 예전과 많이 달라져 책 한 권의 분량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자, 이제 다시 이야기로 돌아가서 '원고지 1..

스토리텔링 2020.12.21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정의, 주요 인물, 참고 사이트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란? 게임, 영화, 디자인에서 상호작용형 내러티브의 미래와 활용 사례를 알아보세요. 지금 확인하고 영감을 얻어보세요!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란?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이란 두 가지 의미를 함축한다. 첫째, 기술적 용어로서, 하이퍼미디어 디자인이나 멀티미디어 플랫폼의 인터랙션 스토리보드의 지침으로 사용될 때 쓰여진다. 둘째, 뉴미디어 발전에 따라 부각되고 있는 ‘인터랙티브’와 고전적 화법에서 사용해왔던 ‘스토리텔링’이라는 두 단어의 조합의 의미에서 쓰여지기도 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듣는사람(audience)이 이야기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야기라고 보면 된다. 그런데 이 용어는 디지털 스토리텔링보다는 좀 더 상업적인 분야에서 많이 쓰여진다.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특히 게임 등의..

스토리텔링 2020.11.19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주요 개념과 적용 사례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은 1995년 미국 콜로라도에서 열린 디지털 스토리텔링 페스티벌에서 처음 사용된 개념이며 디지털 매체 기반의 콘텐츠 제작을 위한 스토리 창작기술을 말한다. U.C. 버클리 대학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센터의 공동창립자인 Joe Lambert는“오래된 이야기 기술을 새로운 미디어에 끌어들여 변화하고 있는 현재 삶에 맞게 가치 있는 이야기들로 맞춰가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국 문화콘텐츠진흥원과 어젠다 리서치그룹이 발행한 CT 기술 동향보고서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디지털 기술을 환경으로 삼거나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 기법"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최혜실 교수는 디지털 스토리텔링이란 "컴퓨터 상에서 일어나..

스토리텔링 2020.11.14

스토리텔링의 이해 #01. 이야기를 좋아하세요?

이야기에는 뼈대가 있고, 서사와 플롯은 그 뼈대를 흥미롭게 꾸미는 기술이다. 권선징악의 전통적인 구조부터 현대적 추리소설까지, 스토리텔링의 기교를 알아보자!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 대사전에 따르면 이야기는 ‘어떤 사물이나 사실, 현상에 대하여 일정한 줄거리를 가지고 하는 말이나 글’을 뜻한다. 여기서 눈길을 끄는 것은 ‘줄거리’라는 단어다. 줄거리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군더더기를 다 떼어 버린 나머지의 골자(骨子)’라고 나와 있다. 즉, 이야기에는 어떤 뼈대(골자)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뼈대에 살(군더더기)을 붙이면 이야기가 완성된다. 철사로 뼈대를 세우고 찰흙으로 살을 붙여가며 사람이나 동물의 형상을 만들던 초등학교 미술시간을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가 간다.그렇게 조형물을 만들거나 건물을 짓는 것처럼..

스토리텔링 2020.11.13

하이퍼텍스트 소설 쓰는 법 무료 소프트웨어 TOP 6

프로그램은 대부분 오픈 소스이며 대부분 모든 브라우저에서 읽고 재생할 수있는 HTML 출력을 지원합니다. 상업용은 일부 기능이 없는 체험판 소프트웨어가 제공됩니다.ChoiceScript: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스크립팅으로 게임 북 스타일의 하이퍼 텍스트를 생성합니다. 기본 계층 적 일반 텍스트 형식이 있습니다. ink(y): ink는 계층적 스크립팅 언어를 사용합니다. 크로스 플랫폼 IDE이며 Unity 통합 기능을 제공하고 인기있는 Discord 서버를 가지고 있지만 아쉽게도 UI를 많이 제공하지 않습니다.Raconteur/Undum: Twine 및 Inform 7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ChoiceScript와 가장 유사한 JavaScript 도구 세트를 제공합니다.Squiffy/Quest: 크로스 플랫폼..

스토리텔링 2020.11.08
1 2 3 4 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