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ALL

글쓰기 31

웹소설 쓰는 법: 36가지 극적인 상황을 만드는 플롯

36가지 상황 각각의 상황을 설명한 다음, 각 상황에 필요한 요소와 간략한 설명이 이어집니다. 간청 박해자, 청원자, 판단이 의심스러운 권위를 가진 권력자. 탄원자는 박해자로부터의 구원을 위해 권위 있는 권력에 호소한다. 권위 있는 권력은 별개의 사람일 수도 있고 박해자의 손에 매달린 무기와 같은 박해자의 속성일 수도 있습니다. 탄원자는 박해를 받는 사람과 중재자라는 두 사람일 수도 있습니다. 에스더 가 왕의 수석 고문에게서 구출되기 위해 유대인을 대신하여 왕에게 중재하는 것이 그 예입니다. 구출 불행한자, 위협자, 구조자 불행한 사람이 갈등을 일으키고 위협하는 사람은 정의를 실행하지만 구조자는 불행한 사람을 구합니다. 예: 타우리드의 이피게니아, 딜리버런스 복수를 쫓는 범죄 범죄자, 복수자 범죄자는 정..

스토리텔링 2022.01.23

웹소설의 특징 장점 단점 문제점 개선점

전개 및 표현 경쟁 상대를 웹툰이라고 생각한다면, 웹소설은 내용의 전개가 빨라야 하며 묘사는 주관적 감성 단어를 풍부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누구나 한눈에 반하는 얼굴'이라고 하면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데 불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과거 무협지에서 많이 쓰던 방식이다. 어쩌면 황당무게하고 너무나 단순한 이러한 묘사 방식은 일본 라노벨에 자주 등장하여 '유치하다'라는 비판을 듣게 만드는 요소지만, 이 역시 만화책과 경쟁하던 일본 라노벨 작가들이 전략적으로 발달시킨 부분이다. 연재 주기 및 분량 웹툰과 경쟁한다는 같은 이유로 웹소설은 보통 한 회의 분량과 연재 주기를 짧게 잡는다. 그림을 그리는 속도보다 글을 쓰는 속도가 훨씬 빠른데, 이 점을 활용하여 독자 끌어오기 싸움에서 승기를 잡는 것이다. ..

스토리텔링 2021.12.15

내러티브 글쓰기의 4가지 유형

말할 수 있는 무한한 이야기가 있고, 말할 수 있는 방법도 무궁무진하다. 서술적 에세이를 쓰든, 단편 소설을 쓰든, 다양한 종류의 내러티브를 이해하든, 다양한 유형의 이야기를 이해하면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다. 내러티브란 무엇인가? 내러티브는 좋은 이야기를 하기 위해 연결된 사건들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에세이든, 전기든, 소설이든, 내러티브는 개념, 아이디어 또는 줄거리 별로 구별되는 사건들을 통합한다. 일반적인 유형의 내러티브는 시작, 중간, 끝을 포함한다. 내러티브는 민담에서 고대 시에 이르기까지 스토리텔링의 시작부터 존재해 왔다. 내러티브 글쓰기의 4가지 유형 1. 선형 내러티브 선형 내러티브는 이야기의 사건들을 실제로 일어난 순서대로 보여준다. 이것은 1인칭 내레이션, 2인칭 내..

스토리텔링 2021.12.14

초보자도 전문 평론가처럼 영화 리뷰 쓰는 방법

영화는 마법과 같은 환상으로 가득 찬 놀랍고 다채로운 세계입니다. 이제 영화는 우리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죠. 우리는 영화를 보고, 토론하고, 사랑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우리는 영화 리뷰를 씁니다. 하지만 고품질 리뷰를 작성하는 것은 특히 초보자에게 어려운 작업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우리는 영화 리뷰 작성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에서 훌륭한 글쓰기의 모든 측면(구조, 준비 작업, 목적, 단계 등)을 검토합니다. 상세하고 유용한 지침이 있으면 작성 과정이 흥미롭고 쉬울 수 있습니다. 영화 비평의 신비한 세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영화 리뷰란? 영화 리뷰는 영화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과 기술 및 주제 내용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균형 있게 종합한 것입니다. 영화 리뷰의..

영화 2021.09.06

플롯 대 스토리: 줄거리와 이야기의 차이를 아십니까?

줄거리와 이야기는 둘 다 좋은 소설을 쓰는데 필수적이다. 그것이 무엇이고 글쓰기에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방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책이나 단편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할 이야기가 있고 줄거리가 필요하다는 것도 안다. 하지만 플롯과 스토리는 같은 건가? 아니면 다른 건가? 둘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이 두 가지는 같지 않다. 친척 정도는 될지 모른다. 스토리(이야기) 없이는 플롯(줄거리)을 구현할 수 없지만, 어쨌든 이 둘은 같지 않다. 플롯(줄거리) 대 스토리(이야기)를 생각해 보자. 스토리는 사건들의 타임라인이다: 그리고 플롯의 핵심적 기능은 이 스토리를 뒷받침해 이야기가 살아나게 하는 것이다. 기본적인 '스토리'에 대한 질문은 '다음은 어떻게 되는가?'이다. 이 이야기 속의 사건들(의 순서..

스토리텔링 2021.08.19

장편 영화를 완성하는 40가지 기본 플롯

방법론, 테크닉, 모범 사례 시나리오 작가 또는 영화 제작자가 직접 촬영 및 편집을 위해 대본을 작성하고 창의적 분위기를 흐르게 하는 데 약간의 도움이 필요한 경우, 또 일시적으로 작가가 막막함을 겪을 때, 정말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이 뭘까요? 장편 영화 작업에 몇 가지 새로운 아이디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40가지 기본 플롯이 여기 있습니다. 1.) 훅: 관객을 빠르게 사로잡기 위해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시작합니다. 2.) 셋업: 등장인물을 소개하고 일상을 보여줍니다. 3.) 안타고니스트(적대적 인물) 등장: 빌런이 가장 잘하는 것을 보여주는 엄청난 등장. 4.) 조연 캐릭터: 영화 속 세계의 또 다른 면. 5.) 플롯의 목적: 점차 떠오르는 문제와 이슈 6.) 테마 또는 테마 목적 정의: 은유 또는 ..

스토리텔링 2021.08.15

작가(Writer)와 저자(Author)의 차이점은?

우리가 자주 하는 질문으로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작가와 저자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미국 판타지·SF 작가 A. 리 마르티네즈는 “글 쓰는 사람은 작가다.”라고 말합니다. 이보다 더 적절한 설명은 없습니다. 동일한 단순성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면 저자는 글이 출판된 사람입니다. 그게 다야? 음... 아니. 많은 유형의 작가와 저자가 있으며, 솔직히 말해서 이들 사이의 얇은 경계선이 실제로 흐릿한 경우가 많습니다. 먼저 유사점에 대해 이야기합시다. 우선 둘 다 작가죠. 둘 다 완전히 자신의 것이 아닌 주제나 테마에 대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둘 다 글을 통해 자신의 생각이나 생각을 표현합니다. 이제 차이점을 살펴보겠습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누구나 작가인 반면, 저자는 해당 작품이 출판되어..

스토리텔링 2021.08.12

독서록 독후감 쉽게 빨리 쓰는 법 (형식 제공)

이따금 독서록이나 독후감을 쓰려고 자리에 앉으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또 과제나 리포트 등은 늘 제출 시간이 임박하죠. 그래서 마음은 급하고 생각은 정리가 안 됩니다. 평소에 책을 읽고 독서 노트를 작성해 두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평소에 책을 읽지도, 독서 노트를 쓰지도 않죠. 그런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책을 아예 안 읽었다면 도와줄 수가 없네요. 하지만 대충이라도 책을 훑어봤다면, 독서록이나 독후감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질문 목록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 독서록을 써야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빕니다. 어떤 장르의 책인가요? 누구를 대상을 한 책인가요? 이 책의 주제를 한 줄로 요약한다면? 이 책에서는 무슨 일이 왜 일어납니까? 이야기의 터닝 포인..

2021.08.09

영화리뷰 쓰기 키워드: 거리두기, 낯설게하기, 소격효과

◆ 개요 원래는 연극 용어. 독일의 극작가ㆍ시인ㆍ무대연출가 베르톨트 브레히트가 처음 사용했지만 그 역시 1920년대 소비에트 영화 학파의 ‘소외’ 이론에서 따온 개념. 관객의 몰입을 고의로 방해하여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는 극을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하는 연출 방법. 이 기법을 적절히 사용하면 영화든 연극이든 더 성숙한 인지상태에서 관객들이 드라마를 감상할 수 있어 오직 감성에만 호소하는 연출에 비해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재미에 대한 평가는 각자의 몫) 거리두기 효과 (Distancing effect)는 독일의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1898–1956)가 만든 공연예술 개념이다. 존 윌렛(John Willett)의 1964년 번역에 의해 alienation effect로 더..

영화 2021.08.02

스토리텔링 기법: 소설 및 시나리오 플롯의 구성요소

구성(構成, plot)-소설 및 시나리오에서의 : 주제의 효과적 표현을 위한 사건의 인과적 질서 1. 개념 : 구성이란 어떤 사물의 짜임새, 틀을 말한다. 따라서 소설의 구성은 작품의 짜임새를 말하며 흔히 '플롯'이라고도 한다. 소설에는 일정한 이야기(스토리)가 있고, 그 이야기는 인과적 질서에 의한 일정한 틀에 의해 전개된다. * 현실의 줄거리(story) :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건의 순차적 배열 * 허구적 줄거리(plot) : 작가가 재구성한 사건의 인과적(因果的), 미적 질서 '소설의 양상'(Aspects of the Novel) --- 포스트(E. M. Forster)의 견해 스토리는 시간적 순서대로 배열된 사건의 서술이다. 플롯도 사건의 서술이지만 인과(因果) 관계에 중점을 둔다. '왕이 죽고..

스토리텔링 2021.03.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