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급상승 코인의 불편한 진실: 블록체인의 내부자들

구름산신작가 2021. 10. 29. 12:09
반응형

퍼블릭 블록체인의 내부자 소유 증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결국 진정한 분산형 공공 인프라가 되는 블록체인의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주의: 본 포스팅은 특정 암호화폐에 대한 그 어떤 투자도 추천하지 않으며 단순 정보일 뿐입니다.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매력적인 특징 중 하나는 그것의 분산된 특성이다. 그리고 초기 공공 블록체인의 많은 수가 이 기능을 고수했다. 즉,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결국 그 핵심 기능을 염두에 두면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말이다. 새로운 경제 시스템을 처음부터 설계하는 것처럼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재산권에 대한 자원 배분 문제와 전체 시스템이 궁극적으로 어떻게 통제되고 통제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블록체인이 세계 경제가 운영하는 공공 인프라의 필수적인 부분이 될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이것은 정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에 대해 블록체인 개발자들의 책임도 가중되고 있다. 현재 블록체인의 초기 자산 배분은 크게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1. 공개 판매 - 대중이 참여할 수 있는 할당
  2. 커뮤니티 할당 - 커뮤니티로 돌아가는 생태계 자금
  3. 내부자 - 핵심 팀, 투자자 및 기업
  4. 재단 등 - 커뮤니티 관리 보조금 풀 및 테스트넷 참여 보상과 같은 기타 보상
SMALL

 

예를 들어 이더리움, 코스모스, 테조스, 이오스와 같은 프로젝트들은 토큰 공급의 70% 이상을 그들의 커뮤니티에 할당했다. 즉,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그 대가로 소유권을 받는 커뮤니티의 원래 철학을 고수한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이 철학은 대중을 위한 토큰 분배의 덜 관대한 공급으로 옮겨간 것으로 보인다. 이는 블록체인을 기업처럼 취급하고 더 많은 소유권 배분을 추구하는 벤처 투자가의 존재 증가, 규제 증가, 초기 평등주의 이상 침식 등 여러 요인 때문일 수 있다.

이러한 추세는 바이낸스, 솔라나, 플로우, 아발란치 등 최근 시장에 진입한 일부 기업에서 볼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내부자가 각 프로젝트의 토큰 공급의 40% 이상을 소유하고 있다. 재단 할당까지 고려하면 이러한 배분은 더욱 극심하다.

 

물론 프로젝트에 따라 건전한 이유로 내부 지분율이나 재단 지분율, 커뮤니티 지분율이 높을 수 있다. 또 공공 지분율이 높다고 반드시 안전성을 담보하는 것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대중이 소유한 지분율과 스테이킹 비율이 높고 거래도 활발한 것이 탈중앙화 금융이라는 본래의 취지에 더 부합하는 것은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가격 역시 소수가 컨트롤할 수 있는 가능성은 아무래도 적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단기 거래를 원하는지, 중장기 거래를 원하는지, 가격 등락 폭이 큰 것을 원하는지, 일정한 등락 폭을 원하는지는 각 개인의 판단이다. 위에서 언급한 4대 할당 비율에 따라, 또 목적에 따라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그 무엇도 100 퍼센트의 장점이나 단점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