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따금 독서록이나 독후감을 쓰려고 자리에 앉으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합니다. 또 과제나 리포트 등은 늘 제출 시간이 임박하죠. 그래서 마음은 급하고 생각은 정리가 안 됩니다.
평소에 책을 읽고 독서 노트를 작성해 두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현실은 정반대로 평소에 책을 읽지도, 독서 노트를 쓰지도 않죠. 그런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책을 아예 안 읽었다면 도와줄 수가 없네요. 하지만 대충이라도 책을 훑어봤다면, 독서록이나 독후감을 작성하는데 도움이 될만한 질문 목록이 있습니다. 지금 당장 독서록을 써야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빕니다.
- 어떤 장르의 책인가요?
- 누구를 대상을 한 책인가요?
- 이 책의 주제를 한 줄로 요약한다면?
- 이 책에서는 무슨 일이 왜 일어납니까?
- 이야기의 터닝 포인트는 어느 부분인가요?
- 책의 내용 중 이해가 잘 되지 않거나 헷갈리는 부분은?
- 이 책에는 어떤 논쟁거리가 등장하나요?
- 등장인물 중에서 나와 연결 지을 수 있는 캐릭터는? 그 이유는?
- 책에서 가장 비호감인 캐릭터는? 그 이유는?
- 이 책에서 나의 오감(시각/청각/촉각/후각/미각)을 자극한 부분은 어디인가요?
- 책을 읽고 난 뒤 나의 기분은 어떻게 바뀌었나요?
- 책을 읽으며 가장 마음에 든 부분이나 문장을 고른다면? (3~5개)
- 책에서 가장 싫었던 부분은 어디이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 내가 고쳐 쓰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어디를, 어떻게 바꾸고 싶나요?
- 작가는 이 책을 어떤 목적으로 썼다고 생각하나요?
- 나는 이 책을 통해 무엇을 배우게 되었나요?
- 이 책을 다른 책 혹은 영화와 비교한다면?
- 다른 이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면 누구에게 어떤 이유로 추천하고 싶나요?
이상의 질문에 모두 답할 필요는 없습니다. 분량에 따라, 또 답하기 쉬운 질문을 골라서 답을 쓰듯 작성하면 됩니다. 단, 가급적 구체적으로 쓰는 게 분량을 채우는데 좋겠죠?
반응형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후감: 앨버트 허시먼의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0) | 2021.08.21 |
---|---|
불안한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는 방법 (0) | 2021.08.10 |
대학 강사가 말하는 '지적 성장을 위한 독서법' (0) | 2021.08.05 |
전 수상자 가즈오 이시구로, 부커상 또 받나? (0) | 2021.07.27 |
악당 잡는 사신, 주진우의 데스노트 '주기자' (0) | 2021.02.23 |